보건교육

보건학 -보건의 개념(1)

hopehope7 2025. 10. 31. 17:30

🌿 보건의 개념 ― 건강한 사회를 위한 기본 철학

 

보건(Public Health)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신체적·정신적·사회적·환경적 측면이 조화를 이루는 완전한 안녕(well-being) 상태를 뜻합니다.
오늘날 보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공동체 전체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하는 사회적 책임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보건의 개념 ― 건강한 사회를 위한 기본 철학

 

 

🏥 1. 건강의 정의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넘어,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안녕이 완전히 보장된 상태를 말한다.”
— WHO 헌장, 1948

 

 

이 정의는 건강을 생물학적 차원에만 국한하지 않고,
사회적 환경, 생활습관, 정신건강, 인간관계 등 삶의 질 전반으로 확장한 것입니다.
즉, 건강은 단지 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행복하고 생산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힘입니다.

 

🌱 2. 건강의 요인과 건강개념의 변화

건강은 한 가지 원인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수많은 요인이 상호작용하면서 개인의 건강상태를 만들어내는데, 이를 건강결정요인(Determinants of Health)이라 부릅니다.

건강결정요인은 다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병인(Agent)
    •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나 자극 요인.
    • 생물학적, 물리적, 화학적, 정신적 요인이 모두 포함됩니다.
  2. 숙주(Host)
    • 인간의 유전적 요인, 연령, 성별, 영양상태, 면역력 등 개인의 특성이 해당됩니다.
  3. 환경(Environment)
    • 인체를 둘러싼 생물학적·사회경제적·물리적·화학적 환경을 의미합니다.
    • 예를 들어 기후, 생활습관, 주거환경, 오염정도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이처럼 건강은 개인의 노력뿐 아니라 환경과 사회구조의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사회적, 정책적 접근이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 3.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의 단계

보건학자 레벨(Leavell)과 클라크(Clark, 1965)는 질병의 자연사를 다섯 단계로 나누고,
이에 따른 예방단계를 제시했습니다.

질병 단계예방 조치예방 수준
비병원성기 건강증진, 환경위생, 영양개선 1차 예방
초기병원성기 예방접종, 특수예방 1차 예방
불현성감염기 조기진단, 조기치료 2차 예방
발현성질환기 합병증 및 불구 예방 치료 3차 예방
회복기 재활, 사회복귀 3차 예방

즉, 예방이 치료보다 효율적이며,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질병 발생 전 단계에서의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 4. 공중보건학의 이해

공중보건학(Public Health)은 인구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한 건강관리 과학입니다.

미국의 보건학자 윈슬로(Winslow, 1920)는 공중보건을 이렇게 정의했습니다.

“공중보건이란 조직된 지역사회의 노력으로 환경을 개선하고,
전염병을 예방하며, 개인위생에 관한 교육과 질병의 조기발견 및 예방적 치료를 제공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과학과 기술이다.”

이 정의에서 알 수 있듯, 공중보건은 질병 치료보다 예방과 건강유지를 중심으로 합니다.
예방접종, 위생관리, 식수개선, 영양 및 정신건강 관리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공중보건학의 주요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초 분야: 환경위생, 식품위생, 국민영양, 역학, 감염병 관리 등
  • 임상 분야: 모자보건, 학교보건, 가족계획, 보건간호 등
  • 응용 분야: 도시보건, 농어촌보건, 산업보건, 공해관리 등

 

🧠 5. 보건의료의 이해

보건의료(Health Care)는 단순히 병을 치료하는 의학이 아니라,
예방·치료·재활·건강증진을 모두 포함하는 통합 개념입니다.

특히 일차보건의료(Primary Health Care, PHC)는
모든 국민에게 필수적이고 접근 가능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으로 강조되고 있습니다.

일차보건의료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지역사회의 적극적 참여
  • 예방 중심의 의료 서비스
  • 지역사회 실정에 맞는 실천 가능한 보건사업
  • 형평성(Equity)에 기반한 서비스 제공

또한, 포괄보건의료(Comprehensive Health Care)는
치료 중심의 전통의학과 예방 중심의 공중보건학이 조화를 이루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 개념은 건강증진, 질병예방, 재활, 사회복귀를 포함하는 전인적 접근(holistic approach)을 지향합니다.


🌿 6. 보건의 사회적 의미와 향후 과제

보건의 궁극적 목표는 단순한 수명 연장이 아니라 건강수명(Healthy Life Expectancy)의 연장입니다.
모든 개인이 사회경제적 지위와 무관하게 건강할 권리(Health Equity)를 누리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만성질환, 비감염성 질환, 정신건강 문제 등이 늘어나면서
보건의 개념도 더 포괄적이고 다층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보건정책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발전해야 합니다.

  • 생활환경 개선과 건강한 도시 설계
  • 건강형 사회문화 조성 및 평생건강교육 확대
  •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 디지털 보건 및 지속가능한 보건 시스템 구축

결국, 보건은 단순히 “아픈 사람을 돌보는 일”이 아닙니다.
모든 사람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노력이며,
그 노력은 개인, 지역사회, 정부가 함께 실천해야 할 과제입니다.


참고문헌

  • World Health Organization (1948). Constitution of the WHO.
  • Winslow, C.E.A. (1920). The Untilled Fields of Public Health. Science.
  • WHO (2024). Primary Health Care: Fact Sheet.
  • 보건교육사 한권으로 끝내기 – 보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