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

생리 불순 개선을 위한 생활습관 가이드

hopehope7 2025. 11. 3. 22:34

여성에게 있어서 규칙적인 생리주기는 일상의 건강 덕목 중 하나입니다.

인체 호르몬 주기의 정상적 운영, 일상의 밸런스에 큰 영향을 주는 생리주기!

현대 여성들은 생리 불순으로 속앓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생리 불순에 대해 알아보고 일상의 대처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생리 불순 개선을 위한 생활습관 가이드

 

📖 목차  
1. 생리 불순이란? 그리고 여성 건강과의 연관성  
2. 생리 불순의 의학적 원인 및 연구 근거  
3. 생활습관 변화로 생리 리듬을 되찾는 방법  
4. 식습관과 영양으로 접근하는 생리 불순 개선법  
5. 마무리 및 실천 체크리스트  



1. 생리 불순이란 그리고 여성 건강과의 연관성  
생리 불순(월경 주기 이상)은 통상적으로 그 주기를 28 일을 기준으로 ±7일 이상 차이나거나, 주기가 극도로 짧거나 긴 상태를 의미합니다.
생리 주기는 단지 생식 기능의 표시가 아니라, 여성의 호르몬 균형, 대사 건강, 심혈관 및 내분비 건강까지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실제로 반복된 생리 불순은 심혈관질환, 제2형 당뇨, 골다공증 등 다른 기관의 건강 위험과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생리 불순은 단순히 ‘생리가 늦거나 빠른 것’이 아니라 몸 전체 건강의 경고 신호로 볼 필요가 있기에 여성 스스가 자신의 생리 주기에 대해 관심을 갖고 살펴야 합니다.

 2. 생리 불순의 의학적 원인 및 연구 근거  
생리 리듬이 흐트러지는 원인은 다양한데, 대표적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호르몬 축 이상(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 HPO축) : 배란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거나 난포기·황체기의 변화로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질 수 있습니다. 
🌿 비만 또는 저체중 : 체질량지수(BMI)의 이상이 생리 주기의 불규칙성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예컨대 비만인 경우 생리 주기가 비정상적일 비율이 높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 생활습관 요인 : 스트레스, 수면 부족, 운동 부족 또는 과식 등 식단 불균형이 생리 불순의 위험요인으로 지목되어 왔습니다. 
🌿 내분비 질환 및 기타 건강 상태 : 다낭성난소증후군, 갑상선 기능 이상 등도 생리 주기 이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한 연구에서는 “생활습관 요인들(lifestyle factors)과 생리 주기 이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결론이 제시되었습니다. 
이처럼 근본적으로 생리 불순은 다차원적인 원인이 얽혀 있기 때문에 생활습관 자체를 점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생활습관 변화로 생리 리듬을 되찾는 방법  
생리 주기를 바로잡기 위한 '생활습관 변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규칙적인 수면 시간 확보
  하루 7시간 이상 숙면을 취하는 것은 호르몬 분비 리듬을 안정화시키는 데 중요합니다. 

  수면 부족은 배란 및 월경 리듬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 체질량지수(BMI) 정상 범위 유지
  저체중 혹은 과체중 모두 생리 불순의 위험요인입니다.

  따라서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체지방 과다 또는 과소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는 신체의 체중 상태(저체중·정상·과체중·비만 등)를 간단히 평가하기 위한 국제 표준 지표로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체질량지수(BMI) 정상 범위

    🔹 BMI 기준

구분 WHO기준 아시아(대한민국)기준
저체중 < 18.5 < 18.5
정상체중 18.5 – 24.9 18.5 – 22.9
과체중 25.0 – 29.9 23.0 – 24.9
비만 (1단계) ≥ 30.0 25.0 – 29.9
고도비만 (2단계 이상) ≥ 35.0 ≥ 30.0


🌻 운동 루틴 유지하되 과도하지 않게  
  주 3회 이상 중등도 운동(걷기, 자전거, 요가 등)은 생리 주기 정상화와 혈류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다만 지나치게 격렬한 운동이나 급격한 체중감소는 역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관리
  만성 스트레스는 코르티솔을 증가시켜 생식호르몬 축을 교란할 수 있으므로, 명상·호흡법·가벼운 활동 등으로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생활습관은 단기간에 변화가 생기진 않을 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실천할수록 생리 주기의 규칙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연구 결과에서도 보여지고 있습니다. 


4. 식습관과 영양으로 접근하는 생리 불순 개선법  
식단 또한 생리 리듬을 안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정제된 탄수화물·설탕·패스트푸드 섭취 제한   
패스트푸드를 자주 먹거나 설탕 음료를 많이 마시는 여성은 생리 주기 이상 및 생리통의 확률이 높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대사의 이상, 미량영양소의 불균형 등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 충분한 식물성 식품(신선한 채소&과일)·불포화지방산 섭취
채소, 과일, 올리브유, 생선 등 항산화, 항염증 식단이 생리 주기 정상화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 철분·비타민·미네랄 보충
 월경량이 많거나 생리 불순이 잦은 여성은 철분이나 엽산, 마그네슘 등의 결핍 여부를 체크하고 적절히 보충해 주는 것이 필요한데, 특히  철분은 월경 중 혈액 손실로 인해 가장 쉽게 부족해지며, 부족 시 피로감·집중력 저하·어지럼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엽산의 경우 인체 내 적혈구 생성과 호르몬 균형에 관여해 생리 주기 안정에 도움을 주며, 마그네슘은 근육 이완과 신경 안정 작용으로 생리통과 긴장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이들 영양소는 균형 잡힌 식단이나 보충제를 통해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침식사 거르지 않기
아침식사 거르기와 야식·불규칙한 식사 패턴을 바로 잡아 하루 세끼 규칙적인 식사를 하도록 합니다.
규칙적인 식사는 호르몬 분비 및 자궁 내막 상태, 배란 주기 등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5. 마무리 및 실천 체크리스트  
생리 불순은 여성의 건강 전반과 연결된 신호입니다. 

다시한번 아래 체크리스트를 참고해 실천해보세요:

✔️ [   ] 아침식사 거르지 않기  
✔️ [   ] 패스트푸드, 설탕음료 섭취 줄이기  
✔️ [   ] 매일 최소 7시간 수면 확보  
✔️ [   ] 주 3회 중등도 운동 실행  
✔️ [   ]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명상 또는 산책 10분  
✔️ [   ] 정기적으로 체중‧BMI 체크 및 필요 시 조정  
✔️ [   ] 생리 주기 및 증상 3개월 이상 기록하기  

이 작고 꾸준한 실천들이 쌓이면 생리 리듬이 자연스럽게 회복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여성으로서 자신의 몸이 보내는 신호에 귀 기울이고, 지혜롭고 현명하게 일상의 건강을 관리하시길 응원합니다. 🙏🏽

 

 

 

📚 참고문헌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2015). *Menstruation in girls and adolescents: Using the menstrual cycle as a vital sign.* Committee Opinion No. 651. Retrieved from https://www.acog.org/clinical/clinical-guidance/committee-opinion/articles/2015/12/menstruation-in-girls-and-adolescents-using-the-menstrual-cycle-as-a-vital-sign

Bajalan, Z., Alimoradi, Z., & Moafi, F. (2019). *Nutrition as a potential factor of primary dysmenorrhea: A systematic review of observational studies.* Gynecologic and Obstetric Investigation, 84(3), 209-224. https://doi.org/10.1159/000495416

Cleveland Clinic. (2024). *Abnormal menstruation (periods).* Retrieved from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4633-abnormal-menstruation-periods

Gao, M., Guo, J., & Zhang, Y. (2023). *Lifestyle factors associated with menstrual cycle irregularity: Evidence from population-based studies.* *Scientific Reports, 13*(1), 15432. https://doi.org/10.1038/s41598-023-35858-2

JAMA Network Open. (2022). *Association of menstrual cycle irregularity and long cycle length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women.* *JAMA Network Open, 5*(10), e2236279. https://doi.org/10.1001/jamanetworkopen.2022.36279

Liu, J., Zhang, A., & Li, Y. (2024).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factors and menstrual cycle characteristics among reproductive-aged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BMC Women’s Health, 24*(1), 3142. https://doi.org/10.1186/s12905-024-03142-8

Mohamed, A., & Salah, N. (2021). *Association of menstrual pattern with lifestyle factor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dical Journal of Mahathir University Research, 12*(20), 4–12. https://journals.lww.com/mjmr/fulltext/2021/12020/association_of_menstrual_pattern_with_lifestyle.4.aspx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NICHD). (2024). *Menstruation: Factsheet.* Retrieved from https://www.nichd.nih.gov/health/topics/factsheets/menstruation

Shiferaw, M. T., & Asmare, Y. (2022). *Sleep duration and menstrual irregularity among reproductive-aged women: A population-based study.* *BMC Women’s Health, 22*(1), 151. https://doi.org/10.1186/s12905-022-01689-1

Zhou, Y., et al. (2023). *Dietary patterns and menstrual disorders among women of reproductive age: A meta-analysis.* *Nutrition Reviews, 81*(8), 785-798. https://doi.org/10.1093/nutrit/nuad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