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

보건학-환경보건 문제풀이 오답노트(1)

hopehope7 2025. 11. 13. 19:54

환경보건 전반 내용을 학습 후 문제풀이 과정에서 학습내용을 재정리하였습니다.

 

보건학-환경보건 문제풀이 오답노트-수질오염,물정화,적조현상

1. 소음성 난청의 초기에는 소음의 주파수보가 1/2 음계의 높은 주파수에 대한 손실이 크지만, 주로 4000Hz(cps,c/s)를 중심으로 청력손실이 가장 크며, 이 현상을 C5-dip라고 합니다.

소음성 난청(Noise-Induced Hearing Loss, NIHL) 은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으로 큰 소음에 노출됨으로써 청각세포(특히 유모세포) 가 손상되어 청력 저하가 발생하는 직업성 감각신경성 난청을 의미합니다.

주요 원인: 기계소음, 금속가공, 항공기·공장소음 등
특징: 점진적, 양측성(양쪽 귀에 비슷하게 발생), 비가역적 손상

C5-dip(4kHz dip) 현상이란?

소음성 난청의 대표적 특징 중 하나로, 초기 청력손실이 특정 주파수(4,000Hz 부근) 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때의 청력도곡선에서 “C5-dip” 또는 “4kHz dip” 이라는 V자 모양의 청력저하 곡선이 관찰됩니다.

•  C5-dip = 4,000Hz 부근 청력 손실이 가장 큰 형태의 난청

구분 특징
주로 손상되는 주파수 4,000Hz (C5 영역)
청력검사 소견 청력곡선이 4kHz 지점에서 급격히 하강 (dip)
원인 코르티기관(Corti organ)의 기저부 손상, 내이 혈류장애
손상 초기 3~6kHz의 고주파 영역에서 먼저 손상 시작

 

 

 

2. 아황산가스(SO₂)는 기체 중 대기오염지표입니다.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에는 약 0.1~0.5% 정도의 황(S)이 포함되어 있으며, 연소 과정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아황산가스(SO₂) 형태로 방출됩니다.

이 가스는 무색이지만 자극적인 냄새가 있으며, 인체 호흡기에 영향을 주고, 금속이나 건축물 부식의 원인이 되며,

화력발전소,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용 보일러, 정유공장, 난방시설 등에서 주로 배출됩니다.
대기 중에서는 다음과 같은 경로로 환경문제를 일으킵니다.

•   대기 내 산화 반응
 - SO₂
가 대기 중의 산소(O₂)나 수증기(H₂O)와 반응하여 황산(H₂SO₄) 으로 변함
 - “
황산미스트(sulfuric acid mist)”를 형성

•  산성비의 형성
 - 황산미스트나 황산염 입자가 비와 함께 떨어지면 산성비(acid rain) 가 되어
 - 토양산성화, 수질오염, 삼림피해, 건축물 부식 등 다양한 2차 피해 발생

•  기후 및 가시거리 영향
 -황산염 입자는 에어로졸 형태로 존재하며 햇빛을 산란시켜 시정 악화기후냉각효과를 유발

 

 

 

3. 산업재해 통계지표 - 도수율, 강도율, 건수율, 중독률, 천인율의 의미

산업현장에서의 재해 발생은 단순한 사고의 문제가 아니라, 근로환경·안전관리 수준을 수치로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사업장 규모, 근로시간, 근로자 수 등 다양한 변수를 보정하여 재해의 빈도와 심각도를 객관적으로 나타냅니다.
따라서 각 지표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산업안전보건 관리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도수율(Frequency Rate, FR) 일정 근로시간 동안 발생한 재해건수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강도율(Severity Rate,SR)   재해로 인한 상해의 심각도 손실일수(근로손실일수)를 기준으로 한 지표를 나타냅니다.

중독률(Lost Time Rate)재해로 인한 평균 손실일수를 나타냅니다.

천인율(Incidence Rate per 1,000 Workers)은 근로자 1,000명을 기준으로 얼마나 많은 재해가 발생했는가를 나타냅니다.


✔️ 간략정리 및 계산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표명 의미 계산기준 포인트
도수율 근로시간당 재해빈도 재해건수 / 총 근로시간 재해의 ‘빈도’
강도율 근로손실일수 비율 손실일수 / 총 근로시간 재해의 ‘심각도’
건수율 재해 전체상황 종합평가 빈도 + 강도 통합지표
중독률 평균 손실일수 손실일수 / 재해건수 사고당 손실기간
천인율 근로자 1,000명당 재해자수 재해자수 / 근로자수 규모비교 가능



 

4. 경수Hard Water) 연화법이란?

경수는 경도의 원인이 되는 칼슘, 마그네슘, 철, 등의 이온을 많이 함유한 물로 비누거품이 일지 않는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경수는 비누소비량을 증가시키고 피부를 거칠게 하여 직물을 더럽히고, 직물, 제지, 통조림 및 기타 공장에 사로를 일으킬 수 있고, 보일러에 큰 열손실이나 파괴를 줄 수 있는 스케일(Scale)의 원인이 됩니다.

이 물을 끓이면 경수의 특성이 없어지는 일시경수와 끓여도 변하지 않는 영구경수가 있는데, 일시경수는 Ca, Mg의 중탄산염이 함유된 물로 가열에 의해 연화되는 성질이 있고, 영구경수는 황산염이 함유된 물로 가열에 의해 연화되지 않으므로 탄산소다 즉 소다회를 사용하여 Ca, Mg의 황산염인 CaSO₄, MgSO₄ 등을 침전시켜 연화시킵니다. 이때 질산염, 염소화물도 같이 제거됩니다.

경수의 원인이 되는 ion을 제거하는 것으로 석회소다법제올라이트법이 있습니다.

구분 석회-소다법 제올라이트법
처리원리 화학적 침전 이온교환
주요 시약 Ca(OH)₂, Na₂CO₃ Na-zeolite
주요 대상 대규모 산업용수 가정용·소규모 용수
장점 저비용, 대용량 연속 처리, 관리 용이
단점 슬러지 발생 Na 증가 우려
재생 불필요 NaCl 용액으로 재생 가능

 

 

 

5. 물의 특수정수법이란 일반적인 정수 과정인 응집, 침전, 여과, 소득 이외에 지역적 수질 특성이나 특정 오염물질의 존재에 대응하기 위해 시행하는 보조 정수처리 과정을 말합니다.

 

이것은 일반 정수만으로는 제거되지 않는 특정 물질, 예로 불소, 망간, 조류, 경도 등을 별도의 공정으로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나라 [먹는물 관리법 시행규칙]에서는 불소, 철, 망간, 조류 등의 항목은 수질기준 유지 및 미관 향상을 위해 특수정수법을 병행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   불소주입법 : 불소를 음용수에 적정농도인 0.8~1.0mg/L로 주입하여 치아 우식증(충치)을 예방하는 대표적인 공중보건적 정수법입니다. 불소는 치아 표면을 강화하고, 세균이 생성하는 산으로부터 치아를 보호하는 작용을 합니다.

•   황동산에 의한 생물제거법 : 여름철 저수지나 호수에서는 조류가 번식하면서 냄새, 탁도, 상승, 독소물질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WHO에서는 Cu농도를 1.0mg/L이하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망간제거법 : 망간은 지하수에 흔히 존재하는 금속성분으로, 농도가 높을 경우 흑갈색 침전물 발생, 관 부식, 미관 저하, 냄새 유발 등의 문제를 일으킵니다. 망간은 주로 산화-여과 공정으로 제거합니다. 

 

 

6.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는 물속에 유기물질을 산화하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수질오염의 지표가 됩니다.

수질오염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항목들은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용존산소, 화학적 산소요구량, 수소이온농도, 부유물질, 대장균군 및 세균과 특수 유독물질입니다.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BOD는 물 속의 유기물질이 호기성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산화, 분해되어 안정화되는 데 소모되는 산소량을 말하며, 보통 20℃에서 5일간 Sample을 배양했을 때 소모된 산소량을 측정하는데, 그 값을 BOD₅라고 하며 그냥 BOD라고도 합니다. 이는 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분해가능한 유기물질의 함유량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데 이용됩니다.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수질오염의 강도와 자정작용의 정도를 예견할 수 있습니다.

 

 

7. 적조현상이 증가하면 용존산소(DO)는 감소합니다.

 

일반적으로 미세한 식물성 플랑크톤이 바다에 무수히 발생해서 해수가 적생을 띠는 현상을 적조현상이라고 합니다. 해역오염의 중요한 문제점으로 수산피해를 가져오며, 임해공업단지의 공장폐수와 연안도시의 도시하수가 유입되어 수온의 상승, 염분 농도의 저하, N, P 등의 영양염류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적조영향 및 피해로는 독성을 갖는 편모조류가 치사성의 독소를 분비하여 어패류를 폐사시키고, 황화수소나 부패독과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되어 어패류를 폐사시킵니다. 또한 용존산소(DO)의 부족현상을 야기시켜 수중생물이 생존에 위협을 받고 적조생물이 어패류의 아가미에 부작해서 질식사를 일으킵니다.

'보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학 - 환경보건(2)  (0) 2025.11.10
보건학-환경보건 (1)  (0) 2025.11.09
역학 및 질병관리 문제풀이 오답정리(2)  (1) 2025.11.07
역학 및 질병관리 문제풀이 오답정리(1)  (0) 2025.11.07
감염병 관리  (0) 2025.11.06